해군 상관에 의한 성소수자 여군 성폭력 사건
[언론 기고 카드뉴스 시리즈4]
: ‘피해자는 적극적 저항했나?’ -그 판사의 질문이 잘못된 이유
►기고글 원문 바로가기 (클릭)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63535
►모바일 탄원서 작성하기(클릭)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aBVhdR0186dM9mFbLfDvBxh0qZhBFMOrPDKc4rDUghKOa8g/viewform
1/10
나는, 신입사원이다
나의 상사는 평소에 다혈질적이고,
나의 인사 권한을 쥐고 있으며,
우리 회사는 상하관계가 매우 분명하고,
진급(승진) 경쟁이 치열하다.
2/10
'해군 상관에 의한 성소수자 여군 성폭력 사건'에서
군인인 피해자가 처해있는 상황 중 일부 이야기다.
2017년 보통군사법원은
'강간죄 또는 강제추행죄의 수단으로서 폭행이 인정된다'며
가해자 A에게 징역 10년을 판결하였다.
3/10
하지만 2018년 11월,
고등군사법원
가해자 무죄 선고
: 강간이나 강제추행이 인정되려면
폭행과 협박이 있어야 하는데
'반항'을 불가능하게 할 정도의
'폭행'은 없었기 때문에
무죄라는 것이다.
4/10
이처럼 강간죄 폭행협박 정도를 좁게 해석하는 것을
최협의설이라 한다.
'피해자가 적극적으로 저항을 하였느냐'
묻는 것도 최협의설도 입각한 해석 때문이다
5/10
상명하복 문화,
직속상관의권력은
폭행/협박 없이도
저항할 수 없게 만든다.
재판부가 이 폭행협박을 어떻게 '해석'하느냐 따라 판결이 달라질 수 있는게 현실이다.
6/10
'나중에 협박이나 보복이 두려워
거부하지 않았다'
'할 수 있는 거부랄 게 없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곤
고개를 돌리는 것뿐이었다'
피해자는 말하고있다.
7/10
그 상황에서 피해자는 '최선의 저항'을 한 것이다.
그럼에도 고등군사법원은
피해자의 반항을 가능 내지
곤란하게 할 정도의
폭행이 없었다는
최협의설에 입각한 판결을 내렸다.
8/10
대법원은 피해자가 소위로 임관한 지 6개월도
안 된 여군이었던 점,
불균등한 권력관계로 인해
저항할 수 없었던 피해자의 상황,
피해자가 성소수라는 점,
신뢰하는 최고책임자인 함장에게 피해사실을 알렸으나
함장에게도 다시 피해를 입게 된 '맥락'을 파악해야 한다.
9/10
그리고 3심에서
피고인들에게
적극적으로 질문하라
1)본인이 상관로서 갖고 있는
지위와 권력을 스스로 인식하였는가?
2)직속 부하인 피해자에게 성적 행위를 할 때
'동의'를 구였는가?
3)성폭력 피해를 힘겹게 알린 피해자의 신뢰를 악용하여
함장으로서 역과 책임을 방기하지 않았는가?
10/10
대법원이 낡은 '최협의설'에 입각한
고등군사법원의 부끄러운 판결을 기각하고,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정의로운 판결로서 화답하길 기대한다.
해군 상관에 의한 성소수자 여군 성폭력 사건
[언론 기고 카드뉴스 시리즈4]
: ‘피해자는 적극적 저항했나?’ -그 판사의 질문이 잘못된 이유
►기고글 원문 바로가기 (클릭)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563535
►모바일 탄원서 작성하기(클릭)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aBVhdR0186dM9mFbLfDvBxh0qZhBFMOrPDKc4rDUghKOa8g/viewform
1/10
나는, 신입사원이다
나의 상사는 평소에 다혈질적이고,
나의 인사 권한을 쥐고 있으며,
우리 회사는 상하관계가 매우 분명하고,
진급(승진) 경쟁이 치열하다.
2/10
'해군 상관에 의한 성소수자 여군 성폭력 사건'에서
군인인 피해자가 처해있는 상황 중 일부 이야기다.
2017년 보통군사법원은
'강간죄 또는 강제추행죄의 수단으로서 폭행이 인정된다'며
가해자 A에게 징역 10년을 판결하였다.
3/10
하지만 2018년 11월,
고등군사법원
가해자 무죄 선고
: 강간이나 강제추행이 인정되려면
폭행과 협박이 있어야 하는데
'반항'을 불가능하게 할 정도의
'폭행'은 없었기 때문에
무죄라는 것이다.
4/10
이처럼 강간죄 폭행협박 정도를 좁게 해석하는 것을
최협의설이라 한다.
'피해자가 적극적으로 저항을 하였느냐'
묻는 것도 최협의설도 입각한 해석 때문이다
5/10
상명하복 문화,
직속상관의권력은
폭행/협박 없이도
저항할 수 없게 만든다.
재판부가 이 폭행협박을 어떻게 '해석'하느냐 따라 판결이 달라질 수 있는게 현실이다.
6/10
'나중에 협박이나 보복이 두려워
거부하지 않았다'
'할 수 있는 거부랄 게 없었다.
내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곤
고개를 돌리는 것뿐이었다'
피해자는 말하고있다.
7/10
그 상황에서 피해자는 '최선의 저항'을 한 것이다.
그럼에도 고등군사법원은
피해자의 반항을 가능 내지
곤란하게 할 정도의
폭행이 없었다는
최협의설에 입각한 판결을 내렸다.
8/10
대법원은 피해자가 소위로 임관한 지 6개월도
안 된 여군이었던 점,
불균등한 권력관계로 인해
저항할 수 없었던 피해자의 상황,
피해자가 성소수라는 점,
신뢰하는 최고책임자인 함장에게 피해사실을 알렸으나
함장에게도 다시 피해를 입게 된 '맥락'을 파악해야 한다.
9/10
그리고 3심에서
피고인들에게
적극적으로 질문하라
1)본인이 상관로서 갖고 있는
지위와 권력을 스스로 인식하였는가?
2)직속 부하인 피해자에게 성적 행위를 할 때
'동의'를 구였는가?
3)성폭력 피해를 힘겹게 알린 피해자의 신뢰를 악용하여
함장으로서 역과 책임을 방기하지 않았는가?
10/10
대법원이 낡은 '최협의설'에 입각한
고등군사법원의 부끄러운 판결을 기각하고,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정의로운 판결로서 화답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