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2020년2018_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양육미혼모의 회복탄력성과 특성불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_김종운, 김유경

한국한부모연합
2022-08-05
조회수 236
  • 저자 : 김종운, 김유경
  • 연도 : 2018
  • 학술지명 및 학회명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분류 : 프로그램
  • 독립(양방만) : 행복증진프로그램 참여
  • 종속(양방만) : 회복탄력성, 특성불안, 자기효능감
  • 원문제공처 : 교보문고(교보 Scholar)
  • 검색어 : 미혼모
  • 영문초록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on resilience, trait anxiety and self-efficacy of single mothers. For achieving the purpos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es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on resilience of single mothers? Second, what effects does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on trait anxiety of single mothers? Third, what effects does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on self-efficacy of single mothers? The research targeted 20 single mothers. Half of them is living in the S residential care center which is located in Nam-gu, Busan. The others are awaiter. Regarding to research object, the study objected total 20 single mothers by dividing them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nnection with measurement tools, the study used resilience test, trait anxiety test and self-efficacy test.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as done by using SPSS Ver. 21.0 to calculat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etween pre and post test result o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have effects on decreasing the trait anxiety for single mothers. Second,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upon character strengths gives positive influence on resilience and self-efficacy of single mothers. A discussion and a conclusion are included, as ar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양육미혼모의 회복탄력성과 특성불안 및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남구에 소재한 S 시설거주 양육미혼모 10명을 실험집단에 배치하였고, 프로 그램에 참여하고자 신청한 대기자집단 양육미혼모 10명을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집단에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주 2회 9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측정도 구는 회복탄력성, 특성불안,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기 위해 SPSS Ver. 21.0을 사용하여 비모수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회복탄력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특성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성격강점 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아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0 0

고유번호증번호 :  214-80-10171       /    * 대표자 : 이지우    /     개인정보취급방침   /  CMS 이용약관

* 주소 :  (07944) 서울시 양천구 오목로 181, 4층 

* 대표전화 :  02-826-9925          * 팩스:  02-826-9924           * 이메일 :hanbumo20@hanmail.net

* 한부모고충 통합상담전화 : 1533-3510       * 후원문의 :  02-826-9925        

* 후원링크 : https://online.mrm.or.kr/wXByN4A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한부모연합에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2022  Korea Single Parents  Association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