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_모자가족의 가족체계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_박용권, 박병금

한국한부모연합
2022-07-22
조회수 209
  • 저자 : 박용권, 박병금
  • 연도 : 1999
  • 학술지명 및 학회명 : 한국아동복지학회
  • 학회 대분류 : 사회과학
  • 학회중분류 : 사회복지학
  • 분류 : 심리
  • 독립(양방만) : 가족체계유형, 사회적지지
  • 종속(양방만) : 자녀적응
  • 원문제공처 : 누리미디어(DB pia)
  • 검색어 : 모자가족
  • 분류 : 자녀
  • 영문초록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family system type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hildren`s adjustment in mother-headed family. The 99 subjects were selected.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were FACES III,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Depression Scale, Self-Esteem Scale, and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Cronbach`s a, MANOVA, Scheffe test were conduc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children`s adjustment in mother-headed families according to family system types(typed by the score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respectively). Especially, children with lower score of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have more depression and low self-esteem related to adjustment. (2)Social support was also related to family system types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his result showed that family members` interrelationships could influence their social interaction and then their adjustment. (3)Lastly, including family support, a good soda support do much for children`s adju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모자가족 자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의 구조적 기능적 체계유형을 발견해내고, 이러한 가족체계유형과 자녀들의 적용과의 관련성의 검토, 나아가 이러한 과정 속에서 가족이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의 정도에 따라 그 영향의 정도는 어떠한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Olson등의 Circumplex모텔을 기초로 하고 이를 재구성한 엄명용의 체계유형화의 틀을 활용하여 가족체계의 유형을 구분하였고, 연구의 대상은 영구 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모자가족의 자녀들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모자가족 자녀들의 적응정도가 다르게 나타내고 있음이 드러났다. 가족응집력과 가족적응력이 모두 높은 적응가족과 모두 낮은 부적응가족의 자녀들이 적응과 관련된 우울, 자존감에 있어서 취약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 변인 역시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특히 적용가족과 부적응가족에서 차이가 발견되었고 연결, 경직가족과 부적응가족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정도가 높을수록 가족체계유형에 따른 자녀들의 적응의 영향이 다소 완화됨을 볼 때 적절한 사회적 지지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모자가족 자녀의 적응문제를 완화하는데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자가족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족체계유형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요한 것은 모자가족에 대한 개입은 단지 물질적 지원이나 제한된 형태의 외적 개입보다는 가족구성원간의 관계를 재구성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부적응자녀의 문제해결 노력에 있어서도 단순히 표면적인 문제에만 초점을 두기 보다는 다양한 가족과정(family processes)을 포함하는 가족관계에의 개입과 동시에 부족한 사회적 지지원의 확대와 관련된 개입노력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0 0

고유번호증번호 :  214-80-10171       /    * 대표자 : 장희정    /     개인정보취급방침   /  CMS 이용약관

* 주소 :  (07944) 서울시 양천구 오목로 181, 4층 

* 대표전화 :  02-826-9925          * 팩스:  02-826-9924           * 이메일 :hanbumo20@hanmail.net

* 한부모고충 통합상담전화 : 1533-3510       * 후원문의 :  02-826-9925        

* 후원링크 : https://online.mrm.or.kr/wXByN4A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한부모연합에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2022  Korea Single Parents  Association . All rights reserved.